

석사과정
Master's Degree
수속시 가이드 라인 제공
유학파 컨설턴트 진행
지원서, 추천서, SOP 등 필요한 수속 서비스만 골라서 진행
ENPOINT 유학
1. 학교 Search 및 교수 Search의 중요성
미국대학원 유학을 생각하고 있는 석, 박사 지원자들은 자신의 전공과 연구를 그동안 진행해왔던 학교, 학과, 교수를 찾아보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본인이 연구하고자 하는 카테고리가 여러 분야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도 많고, 어떤 학과에 해당전공이 속해있는 지에 따라 연구의 방향이나 목적 등이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지원 전공 프로그램의 커리큘럼확인
미국대학원 과정은 전공이 확실히 정해져 바로 지원가능한 프로그램도 있지만, 다양한 전공연구경력을 가진 사람들과 모여 여러 분야에 걸쳐 연구들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학교 홈페이지에 들어가 지원전공과 해당전공프로그램을 검색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으나, 본인이 연구하고자 하는 분야로 논문, 학술, 세미나 등을 검색하여, 주요한 성과를 이룬 교수, 연구진이 속한 대학원/학과를 찾아가 보는 게 추후에 컨택작업 및 지원학교 List를 선정하는 과정까지 효율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2. 지원학교 LIST UP
지원희망 전공 프로그램1차 리스트업 & 컨택 교수 리스트업
해당프로그램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학과연구실, 교수진들을 확인합니다. 한 대학원에 연구방향이 일치하는 교수가 두 명 이상일 경우에는, 한 번 더 Search 작업을 통해 비교하여 본인이 조금 더 함께하고 싶은 교수님을 선정하는 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컨택진행 & 컨택완료 & 지원대학원 선별
리스트업한 교수님들께 컨택메일과 CV(이력서)를 첨부하여 컨택을 진행합니다. 선호도를 정해, 우선순위의 교수님께 컨택을 진행합니다.
해당 교수님의 답변에 따라, 2차 선호도 교수님께 컨택하거나, 컨택을 종료합니다.
컨택진행과정에서 교수님들께서는, 추가적으로 지원자의 백그라운드를 확인할 수 있는 연구논문 혹은 이력서 등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내가 가진 백그라운드가 흥미로워 고려하신다는 적극적인 신호이므로 Admission의 비중과 동일하게 전략적으로 준비해서 임해야 합니다.
컨택이 완료되면, 긍정적인 답을 받은 교수님들의 대학원들을 최종 지원대학원으로 선별하게 됩니다.
3. Curriculum Vitae (CV) 의 중요성
이력서 (CV) 작업은 유학준비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데 있어서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학을 가겠다고 마음먹기 전까지는 여러 학교들을 찾아보고 정보들을 알아보는데 정도로만 관심을 가졌다면, 유학준비를 제대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지금까지의 학업성적, 교외활동, 연구경력, 기타(영어성적, 논문 등의 정보들)를 정리하는 “이력서 작업”부터 완성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초적인 정보를 제외하고, 이력서 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본인의 가장 두드러진 장점을 최우선으로 배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력서에는 (앞부분의 기본 인적사항을 제외하고) 어떤 부분부터 써야한다는 규칙이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본인이 판단했을 때, “연구실적”이 높은 경우에는 “Research Experiences”부터, “실무경험”이 높은 경우에는 “Work Experiences”부터 작성하여, 본인의 장점이 가장 두드러진 부분부터 부각하고 그 외 부분들을 뒷 부분에 작성하여 완성하면 최대한 자신의 가치를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교수 Contact”을 대부분 진행하셔야 하는 “박사 지원 희망생”의 경우, Contact 이메일에 반드시 이력서를 첨부해야 하고, 첨부한 CV를 통해 Contact 이메일의 답변 내용이 긍정적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학준비”를 본격적으로 준비하는데 있어서 이력서 작업은 아주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ENPOINT 유학 수속비용

